부동산 경기가 좋지 않을땐 많은 분들이 집값이
떨어질까봐 집을 주택 매매를 하지는 않는데요.
그래서 대부분 많은 사람들이 주택을 사기보다는
전세나 월세로 많이 거주하게 됩니다.
이렇게 전세 보증금이나 전세, 월세 집들이 가격이
오르게되면 특히 월세사는 서민들로서는 경제적 부담이
커지게 되는데요.
이런 월세 세입자의 부담을 덜어주고자 정부에서
연말정산시 월세액 세액공제를 해주고 있답니다.
오늘의 부동산 상식 연말정산시 월세 세액공제는
어떻게 받는지? 내용은 어떤지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1. 월세 세액공제 어떤 사람들이 받을까요?
연소득이 7,000만원이하이면서 근로소득이있고,
무주택세대주 또는 배우자가 낸 월세에 대해서 월세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답니다.
만약 세대주가 세액공제를 받지 않았으면 세대원이
대신 받을 수 있으니 잘 기억해주세요. ^^
2. 그럼 월세액 세액공제 대상 주택 규모는 어떻게 될까요.
전용면적 85제곱미터 이하인 아파트, 단독주택, 다세대
주택, 다가구주택 뿐만 아니라 오피스텔, 고시원도 월세
세액공제 대상이 됩니다.
단, 임대차계약서상에 주소와 주민등록상의 주소가
같아야 합니다.
월세 세액공제와 공제 대상주택에 대해서 알아봤는데
그럼 제일 중요한월세 세액공제 신청 방법은 어떻게
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세액공제 신청방법은 집주인의 동의 없이도 월세임대차
계약서와 월세납입증명(계좌이체 확인서)만 있으면
월세 세액공제 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확정일자를 받지 않았어도 신청이 가능하며, 해당 연도
연말정산때 신고를 하지 못하더라도 5년 이내에 청구하여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세무서를 직접 방문하거나 우편등으로 신청할 수 있으며
인터넷을 이용하여 국세청 홈페이지로 신청도 가능합니다.
국세청 홈페이지 상담/제보 클릭후 - 현금영수증 민원신고
- 주택임차료 민원신고 를 클릭하시면 됩니다. ^^
연말정산시 받을 수 있는 세입자 월세 세액공자 참 쉽죠?
마지막으로 월세 세액공제시 제출해야 할 서류는
무엇인지 확인해 보겠습니다.
1. 임대차계약서 사본.
2. 현금 영수증, 계좌이체 영수증(주인에게 월세 금액을
지급한것을 증명할 수 있는 서류)
3. 주민등록등본
연말정산시 이렇게 월세 세액공제를 받기 위해서는
3가지 서류가 필요합니다.
세액공제 한도는 납부금액의 12%에 해당되는 금액을
세액에서 공제를 해줍니다.
연간 월세 금액 중 최대 750만원까제 공제가 됩니다.
오늘의 부동산 상식 주택 세입자도 연말정산시
월세 세액공제 받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
혹시나 더 궁금하신 사항은 국세청 으로 문의해보셔도
친절하게 안내 받으실 수 있답니다.
오늘도 좋은하루 되시고 즐겁고 행복하시기 바랍니다. ^^
'경제, 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나라 국내 대기업 순위 30대 그룹 순위 변동 (0) | 2017.06.12 |
---|---|
증여세란? 증여세 납부기한 그리고 증여세 세율 종합정리 (0) | 2017.06.07 |
신용등급이 높아지면 은행 대출 금리인하 요구권을 요구해보세요. (0) | 2017.05.29 |
2017 국내 대기업 연봉 순위 직업별 정리 20개 기업 (0) | 2017.05.28 |
로또번호 예상 분석으로 1등 당첨자 과연 가능할까? (0) | 2017.05.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