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경제용어 상식 보험에 대해서
잠깐 살펴보겠는데요.
사람이라면 누구나 행복하며 안정된 삶을
살고 싶어하는데요.
하지만 질병이나, 재난을 대비해 미래가 불안한 분들은
보험을 많이 가입해놓으시는데요.
실질적으로 자동차보험, 생명보험, 보장보험 여러가지를
가입하면서 정작 보험 경제용어는 잘 모르는 분들이
많아서 오늘은 기억하기 쉽게 딱 한가지만
알아보고자 이렇게 준비했습니다.
무엇이냐 보험가액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또한 적당한
보험료 납입 보험금액은 얼마인지 살펴보겠습니다.
경제용어 보험가액(Insurable value)이란 무엇인가?
보험가액(Insurable value)이란 한마디로 정리하자면
내가 가입한 보험으로 사건,사고가 발생했을때 최대로
보상받을 수 있는 최대보험 한도액을 말합니다.
(참고로 자동차 또는 기계보험일 경우는
현재 시가가 보험가액이 됩니다.)
이제는 경제용어 보험가액 어렵게 생각하지 마세요. ^^;
가끔 어려운 용어를 사용하면서 고객들을 혼란스럽게
상대하는 사람이 많은데요. 정말 유능한 보험설계사라면
어려운 용어일수록 일반 사람들에게 간단하고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것이 제일 훌륭한 선생님이랍니다.
그럼 이렇게 여러 보험회사마다 보험종류에 따라서
보험가액이 정해져 있는데 그럼 여기서 생각해 볼것이
보험금액(보험료납입금액)은 얼마가 적당할까
궁금하실텐데요.
무엇이든지 과하면 탈이나듯이 보험료도 적당한 보험금액
을 납입하고 최대의 효과를 볼 수 있답니다.
그럼 보험료 보험금액 얼마가 적당한지
계속해서 알려드릴게요. ^^
- 보장성 보험료 적당한 보험금액은?
보장성 보험금액같은 경우는 보통 일반적으로 적당한
보험료는 8%를 적당한 보험료 라고 합니다.
미혼 남성, 여성의 경우는 매달 납부하는 보험료
(보험금액)은 6-8% 정도에서 납부하는것이 좋습니다.
저축성 보험료(보험금액) 의 경우는
매월 수입의 20-30%정도가 적당한데요.
저축성 보험같은 경우는 경제활동을 하지 못할때 노후를
위해서 저축을 하는 의미가 있기 때문에 약간의 부담이
되더라도 매월 수입의 20-30%정도의 보험금액(보험료)를
납부하는것을 추천드립니다.
경제활동을 할 수 있는 젊을때 일해서 벌어놓은 돈을
퇴직후 사용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저축성 보험의 경우는 일본의 투자라고 생각하시면
좋습니다. ^^
여기서 잠깐!!!
남성이 여성보다 빨리 보험에 가입하면 유리한데요.
왜냐면 남성의 수명이 여성보다 짧기 때문에
일찍 가입할수록 유리합니다.
- 소득 대비 보험 지출 황금비율은 얼마가 좋을까?
총수입을 100으로 가장 이상적인 황금비율은
생활비 30%
단기저축+투자 30%
장기저축 30%(노후대비)
보장성보험(10%, 질병 대비)
가장 이상적인 소득대비 보험료 와 저축비율 입니다.
오늘은 경제용어 보험가액과 함께 적당한 보험료
보험금액에 대해서 잠깐 살펴봤는데요.
도움이 되셨나요?
상식이라는 것이 하나씩 하나씩 쌓아가다보면
시간이 지난후 나도 모르게 박사가 되어있을겁니다.
그럼 오늘은 20,000
'경제, 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법정중개수수료 부동산 중개수수료 계산 복비는 얼마일까? (0) | 2017.08.16 |
---|---|
주식 공매도란(공매도뜻)? 코스닥/코스피 공매도 상위 종목 정리 (0) | 2017.08.14 |
꼭 알아야할~ 부동산 상식 정보 부동산 서류 5가지 (0) | 2017.08.08 |
공공임대와 민간임대의 차이점 및 공공임대주택 종류 (0) | 2017.08.04 |
자소서 취업준비 필수품~ 글자수세기 사이트 프로그램 (0) | 2017.07.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