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부동산 뉴스 신문, TV등을 보면 부동산 관련 기사들을 보면

항상 등장하는 부동산 대출 용어가 주택과 관련된

DTI(총부채상환비율), LTV(주택담보인정비율),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이런 용어들인데요.

매일 뉴스, 신문등에서 접하고 있지만 이게 어떤 의미인지

궁금하셨던 분들을 위하여 오늘은 부동산 용어정리 해설을

알기쉽게 도와드리려고 합니다.

알기 쉬운 부동산 대출 용어 DTI, LTV, DSR

오늘의 부동산 용어정리 하나씩 해설을 해드리겠습니다.

먼저 LTV에 대해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LTV는 Loan To Value ratio의 약자를 따와서 영어단어

의미 그대로 집을 담보로 얼마까지 돈을 빌릴 수

있는가를 말하는 부동산 대출 관련 용어 입니다.

예를 들어 볼까요?

만약 6억원짜리 집이 있다고 하고 LTV가 70%라고 한다면

최대 4억 2000만원까지 대출을 받을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예를 들자면 시가 6억원짜리 주택이 LTV적용이 70% 적용

하고 전세 3억원 세입자가 있을경우

6억 * 70% - 3억 = 1억 2천만원까지 대출이 가능합니다.

정부에서는 전국 모든 지역 서울, 지방 LTV한도가 계속

변동되니 은행 대출받는 시점에 정확한 LTV비율을

확인하시는것이 가장 좋습니다.

 

여기서 잠깐!!!

지역별 소액임차인 최우선변제금액 보증금 범위

 

부동산 용어정리 해설 대출 용어 두번째 DTI 입니다. 

Debt To Income 영어 단어 그대로 해석을 하자면

연간소득에서 매년 갚아야하는 원금 및 이자가

차지하는 비율을 말하는데요.



은행등 대출해주는 곳에서 대출받는 사람의 채무상환

능력을 평가한 다음 대출금액을 결정하는 제도입니다.

예를 들자면 대출자의 연소득이 1억원이고 DTI가 60%

라면  매년 갚아야 하는 대출 원금과 이자가 연 6000만원

을 넘지 않도록 대출금액을 제한하는것이 바로 DTI 입니다.

한마디로 정리 하자면 DTI가 낮으면 대출 가능금액은

줄어들게 되는 것입니다.

정부에서는 주택 집값안정을 위해 DTI, LTV 다양한

방법들을 내놓고 있습니다.

 

갑자기 부동산 용어해설 대출용어를 공부하려니 머리가

아프시죠?  이제 마지막으로 부동산 용어정리 해설

세번째 DSR이란 총부채를 고려했을때 얼마까지

대출이 가능한가를 말하는 용어입니다.

DSR(Debt Service Ratio) 전세대출에 대하여 원리금

상환액을 연소득으로 나눈 비율을 말하는데요.

주택담보대출의 원금과 이자만 계산하는 DTI와는 다르게

DSR은 신용대출과 신용카드 미결제액, 자동차 할부금 등

 주택담보대출 외에 모든 금융권의 대출 원리금을

반영하기 때문에 대출이 까다로운 편입니다.

 

예를 들자면 연소득이 1억원이고 1년동안 갚아야하는

원리금 상환액이 4000만원이라고 하면 현재 DSR은

상환예정액 4000만원을 1억원으로 나눈 40% 가 됩니다.

금융기관의 DSR한도가 80가 된다면 40%에 해당되는

4천만원을 추가로 대출 받을수가 있습니다.

오늘은 알기쉬운 주택담보대출 관련 용어 부동산 용어정리

해설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LTV(주택담보인정비율),

DTI (총부채상환비율)해설을 해드렸는데요.

 

처음 이런 주택관련 부동산 대출 용어해설을 접하시면 

한번에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는데요.

 천천히 다시 읽어보시면 이해가 쉬우실겁니다.

이제부터는 뉴스, 신문등에서 부동산 대출관련 이런

용어가 나왔다 하면 아하~ 하고 이해가 가실겁니다. ^^

저와함께 부동산 대출 용어 하나씩 하나씩 알아가시면

앞으로 부동산 상식이 풍부해 지실겁니다.

 

그럼 오늘은 20,00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