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집을 팔게되면 나라에 납부해야하는것이 바로 세금인데요.

이때 납부하게되는 세금을 바로 양도소득세라고 합니다.

하지만 집을 매매했다고 해서 무조건 양도소득세 납부를

하는것은 아닌데요.

매매한 집의 가격이 올라서 차익이 생겼을때만

양도소득세 세율에 따라서 양도소득세 납부를 합니다.

그와 반대로 집값이 떨어진다음 팔았다면 양도소득세 납부

를 하지 않아도 되는데요.

오늘의 부동산 상식 양도소득세 납부, 양도소득세 세율,

양도소득세 계산방법등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양도소득세 면제조건은?

 9억원 이하 1주택자라면 집을 매매할때 차익이

발생했더라도 2년동안 집이 자기 이름으로 되어 있었으면

거주기간과 지역에 상관없이 양도소득세 납부를 하지 

않아도 된답니다.

 

양도소득세 세율 요약

양도소득세 1주택자와 다주택자 양도소득세 세율표

입니다.

양도소득세 세율 한눈에 쏙 들어오시나요?

양도소득세 납부시 참고하셔서 양도소득세 세율을

계산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

잠시후에는 일급비밀중 하나인 아주 쉬운

양도소득세 계산방법도 알려드리겠습니다. ^^;

세금계산 = (과세표준 * 세율) - 누진공제액

 

여기서 잠깐!

양도차액 금액을 계산할때는 남아있는 대금을

지불한 날자를 기준으로 합니다.

잔금을 지불한 날자라 정확하지 않을때는 등기부 또는

명부에 기재한 접수일, 소유권이전 등기를 한 경우는

등기접수일로 하며, 상속이나 증여를 했을때는 상속개시일

또는 증여받은 날자를 기준으로 합니다.

 

주택을 오랫동안 보유하면 세금 할인혜택이 있을까?

그렇습니다. 세금할인 혜택이 있다.

정부에서는 부동산 안정 대책의 하나로 주택을 3년이상

보유한 토지나 건물을 매매 양도할때 양도차익의

일정한 비율을 공제해 주는데요.

올바른 부동산 투자문화 부동산 투자와 소유를 이끌어내기

위한 방법중 하나랍니다.

장기보유특별공제 공제율(세율)표를 준비했습니다.

2017년부터는 비사업용토지도 취득날자로부터 보유기간

을 계산하여 장기보유특별공제 혜택을 볼수 있도록

바뀌었으니 비사업용토지 가지고 계신분들은

참고하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



양도소득세 납부, 양도소득세 세율을 말씀드렸는데 

마지막으로 양도소득세 계산방법이 남아있는데요.

세금을 계산할때 계산방법 굉장히 머리 아플것

같으신가요?

이제부터 아주 쉽게 양도소득세 계산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그럼 먼저 국세청 홈택스 홈페이지를 접속합니다.

국세청 홈페이지에 접속을 하면 이런 화면이 처음에

보이실 겁니다.

화면 맨위쪽 중간에 보면 모의계산이 보이실겁니다.

모의계산을 눌러주세요.

양도소득세 자동계산 보이시나요?

이걸 누르고 화면에 보이는 내용들을 하나씩 차례대로

입력하시면 아주 쉽계 양도소득세 계산을 하실 수

있을겁니다.

국세청 홈택스 홈페이지를 통하여 양도소득세 계산방법

이제부터 어렵지 않게 홈택스로 한방에 끝내실수

있답니다. ^^

양도소득세 계산방법 머리아프지 않고 참 쉽죠?

증여세, 연말정산 등도 똑같으니 한번 해보세요.

(약간의 금액은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오늘의 부동산 상식 양도소득세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

납부방법, 세율, 계산방법 차근차근 한번씩 읽어보시면

어렵지 않게 모두 이해하실수 있을겁니다.

오늘도 즐겁고 행복한 하루 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